2002/12/30 13:01:36     12381     3   
   윈도우즈 시스템의 파일 확장자 정보
출처 : 국립경상대학교

1.윈도우 시스템 확장자

-버전 숫자만큼이나 설치를 반복해야 한다는 전설을 갖고 있는 윈도우. 수만 개의 파일 중 하나만 말썽을 피워도 다시 설치해야 하는 윈도우 때문에 골탕을 먹은 PC 사용자가 한둘이 아니다. 파일 하나 때문에 부팅이 안 되고, 결국 PC를 사용하지 못하다니…. ‘공격이 최고의 방어’라는 말이 있듯이 윈도우 파일들을 이해하면 더이상 윈도우 때문에 속을 끓이는 일이 없을 것이다.
수만 개의 파일을 어떻게 다 알 수 있냐고요? 걱정 말길. 70여 개의 파일 확장자만 공부하면 충분하다. 에러 메시지로 잘 나타나 사람들을 긴장시키는 ‘****.dll’과 같은 확장자는 종류별로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자신만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골칫덩어리 윈도우를 구성하고 있는 파일 확장자들에 대해 알아본다.

386-인텔 80286 또는 80386 CPU의 보호 모드(protected mode) 기능을 이용해, MS-DOS 프로그램이 연속 확장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DOS extender(도스 확장자) 프로그램이다. IBM PC 호환기의 주력 운영체제인 MS-DOS는 80x86의 실제 모드(real mode)만을 사용하므로 640KB 이상의 기억 용량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스 확장자는 도스용 프로그램이 보호 모드에서 작동함으로써 시스템에 있는 모든 기억 용량을 다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80386용 도스 확장자는 32비트 프로그래밍과 가상 기억장치 기능까지 제공하므로 많은 기억 용량을 요구하는 큰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에 적합하다.
도스 확장자의 기능은 보호 모드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실제 모드(real mode)에서 작동하는 MS-DOS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S-DOS 기능 호출을 중개한다. 또한 보호 모드 프로그램에 기억장치를 할당하고 회수하는 일, 인터럽트의 발생과 처리를 관리하는 일도 한다. 널리 사용되는 도스 확장자는 파랩(Phar Lap)사의 386|DOS Extender, 이클립스(Eclipse)사의 OS/386, 래셔널(Rational)사의 DOS4G 등이다. 파일은 Windows/system 폴더에 위치하고 있다.

ACA-Microsoft 에이전트 캐릭터 파일

ACG-Microsoft 에이전트 미리보기 파일. 에이전트(또는 지능형 에이전트)는 관리자의 개입이 없어도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정보를 수집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미리 제공된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하고, 그것을 매일 또는 일정 시간대별로 제공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ACG는 이런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미리보기 파일 확장자이다.

ANI-움직이는 마우스 커서 파일로 Animation의 뜻을 가지고 있다. 탐색기에서 모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능보다는 액세서리의 용도로 사용된다. *.ANI 파일은 자신이 직접 제작하거나 통신상의 자료실 등에서 얻을 수 있다.

ANS-MS-DOS ANSI 파일이다. 단조로운 텍스트 화면에 그림과 색상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BAK
1) 원래 파일의 손실에 대비해 백업해 놓은 파일(backup file). 중요한 문서 작업을 자주 한다면 이 백업 파일을 많이 만들며 작업하는 것이 좋다.

2) MS-DOS에서 파일들을 백업해 만든 특수한 파일로 BACKUP 명령으로 만들어진다. 갱신되기 전의 파일 정보를 담은 백업 파일. 새로 갱신된 파일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bak 파일의 확장자 이름을 원래의 확장자 이름으로 변경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많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용도로 bak 확장자를 사용하며, 한글의 문서 백업 파일로도 익숙한 확장자명이다.

BAT-이 파일은 IBM-PC의 MS-DOS에서 DOS 명령어를 내용으로 하는 텍스트 파일 중에 BAT 확장자가 붙은 배치 파일(batch file)이다. DOS 상태에서 이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면 그 내용인 DOS 명령들이 키보드로 입력된 것처럼 지정된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IF문 등 프로그램 기능도 일부 가지고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부팅 때 자동으로 실행하는 배치 파일은 고유한 이름인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AUTOEXEC.BAT이다.
도스의 배치 파일로 텍스트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관련 파일의 실행 순서와 옵션을 지정한다. bat는 도스용 파일로 윈도우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나, 시스템 부팅시 사용되는 autoexec.bat 파일은 예외이다.

BIN-리얼모드 드라이버이다. 주요 bin(Binary) 파일로는 드라이브 스페이스에 사용되는 dblpace.bin, drvspace.bin 등이 있다. 특별한 용도가 있는 파일이라고는 보기 힘들다.

CAT
1) 특정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는, 항목에 관한 설명과 충분한 정보의 순서화된 리스트(catalog). 예를 들면 플로피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이름의 리스트 같은 것이 있다.

2) 컴퓨터의 자료 관리 프로그램으로 갱신, 유지되는 자료 파일. 또는 프로그램의 이름과 이들에 할당된 기억 장소를 운영체제에 기록해두고 기호화된 이름으로 호출하는 것이다(file directory).

3) 다른 모든 색인들을 위한 색인(mas-ter index)이다.

4) 카탈로그 파일. 각 파일의 이름, 설명 등과 같은 내용을 목록으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CDF
1) CDF(Channel Definition Format) 파일은 MS의 액티브 채널을 정의하는 파일이다. 윈도우98 폴더 안의 WEB이라는 폴더에 저장돼 있으며, 파일의 구조는 XML 형식으로 되어 사용자가 직접 만들 수도 있다.

2) 윈도우98의 액티브 채널의 예약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CDF 파일은 채널 서버에서 사용자 PC로 복사된 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와 채널 항목에 추가된다.

CFG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Configu-ration)값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 주로 도스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된다.

CHK-도스의 디스크 검사에서 생성하는 파일. 디스크 검사(CHKDSK실행I) 중 손상된 파일이 발견되면 해당 부분을 CHK의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 만들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본적으로 C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CHM-컴파일된 html 파일

CIL-clip gallery download package

CPL-CPL(Control Panel) 파일은 제어판에 있는 기능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 제어판 하나하나의 아이콘이 .cpl이라는 확장자를 가지고 system 디렉토리에 파일로 존재한다.
제어판에 나타나는 설정 항목 파일이며, EXE 파일과 같이 실행이 가능하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항목의 desk.cpl 파일은 더블 클릭하면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가 실행된다. 각 제어판의 항목과 해당 CPL 파일의 이름은 <표 1>과 같다.
C:\WINDOWS\SYSTEM 폴더에 있는 파일을 삭제하거나 추가해서 제어판의 등록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트윅 UI를 사용하면 CPL 파일을 추가/제거할 수 있다.

CNT-목차(Contents)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 텍스트 형태로 되어 있어 일반적인 에디터 프로그램에서 읽을 수 있다.

COM-도스에서부터 사용된 EXE 확장자와 같은 실행 파일이지만, EXE 파일보다는 실행 우선 순위에 있다. 즉 같은 이름을 가진 EXE 파일과 COM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면 확장자가 COM인 파일이 실행된다. Command의 약자이며, 주요 파일로는 윈도우를 실행시키는 win.com을 들 수 있다. win.com의 경우, 보통은 윈도우 시스템의 부팅 과정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나, 특정 문제로 인한 부팅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옵션도 제공한다. 실행 방법과 각 옵션값은 다음과 같다.

win[/d:[f][m][s][v][x]]
f 32비트 디스크 액세스를 사용하지 않는 옵션으로 디스크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사용한다.
m 안전 모드로 윈도우를 실행시킨다.
s 윈도우가 특정 주소의 ROM 주소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정한다.
v 하드디스크 컨트롤러에서 ROM 루틴이 인터럽트를 담당한다. 디스크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사용한다.
x 메모리에서 윈도우98이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찾는 검사를 실시할 때 모든 영역을 선택하지 않는다.

CUR-마우스 커서(cursor) 파일로 사용되는 파일 포맷. Windows/cursors 폴더에 위치해 있으며, any 파일과 마찬가지로 탐색기에서 커서의 모양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커서 제작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자신이 직접 제작하거나, 통신망 등에서 쉽게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CSS-하이퍼텍스트 유형 시트

CVF-압축 볼륨 파일(Compressed Volum File)은 하나의 거대한 파일 형태로, 호스트 드라이브라는 압축되지 않는 드라이브 형태로 저장한다.

DAT-데이터(DATA) 파일.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주요 DAT 파일로는 윈도우98 설치시 95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Winundo.dat, 드라이브 스페이스의 정보를 백업하는 drvspace.bat, 사용자 정보를 담는 user.dat와 IE userdata.dat 등이 있다.
이와 달리 비디오 CD의 포맷 확장자인 .DAT 파일도 존재한다. 이 파일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DDE-동적 데이터 교환을 담당하는 파일. 동적 데이터 교환이란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DLL-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ynamic Link Library) 파일로 독립된 객체들을 하나로 종합한 라이브러리 파일이다. 내부에 포함돼 있는 각 객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 담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EXE 파일이 실행될 때 도움을 주는 파일로 독립적으로는 실행되지 못하는 특성을 갖는다.

DOS-도스 확장자(DOS extender)는 인텔 80286 또는 80386 CPU의 보호 모드(protected mode) 기능을 이용해 MS-DOS 프로그램이 연속 확장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IBM PC 호환기의 주력 운영체제인 MS-DOS는 80x86의 실제 모드(real mode)만을 사용하므로 640KB 이상의 기억 용량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스 확장자는 도스용 프로그램이 보호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에 있는 모든 기억 용량을 다 활용할 수 있게 만든다. 특히 80386용 도스 확장자는 32비트 프로그래밍과 가상 기억장치 기능까지 제공하므로 많은 기억 용량을 요구하는 큰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에 적합하다.
도스 확장자의 기능은 보호 모드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실제 모드(real mode)에서 작동하는 MS-DOS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S-DOS 기능 호출을 중개한다. 이외에도 보호 모드 프로그램에 기억장치를 할당하고 회수하는 일, 인터럽트의 발생과 처리를 관리하는 일도 한다. 널리 사용되는 도스 확장자로는 파랩(Phar Lap)사의 386|DOS Extender, 이클립스(Eclipse)사의 OS/386, 래셔널(Rational)사의 DOS4G 등이 있다.
DOS 윈도우로 부팅하지 않고, 도스 모드로 부팅할 때 사용되는 시작 시스템 파일의 확장자. 윈도우로 부팅될 때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도스 모드로 부팅될 때만 io.dos 파일은 io.sys로, config.dos는 config.sys 파일 등으로 확장자가 변경되어 사용된다. 이들 dos 확장자 파일의 MS-DOS 모드에서의 확장자 변화는 <표 2>와 같다.
윈도우가 부팅될 때 반드시 필요한 시작 시스템 파일들은 다음과 같다. 만일 도스 모드로 부팅될 때는 기존의 DOS 확장자를 갖던 파일들이 SYS, BAT, COM 파일로 변경되며, 사용되지 않는 윈도우의 시작 시스템 파일은 ‘W40’이라는 확장자로 변경된다.

● io.sys : 리얼 모드 운영체제 파일로, 도스의 io.sys와 msdos.sys 파일을 대체한다. 또한 도스의 config.sys가 담당했던 일반적인 기능을 대부분 이곳에서 담당한다.
● config.sys, autoexec.bat : 윈도우는 부팅시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로드한 다음 io.sys와 레지스트리에서 시스템 설정을 마친다. 따라서 이 두 파일의 기능은 최소한으로 축소됐으며, 하위 호환성을 위해 존재한다.
● msdos.sys : 부팅하는 데 필요한 윈도우의 파일 경로와 부팅 옵션을 지정한다. 중요 옵션은 디스크 검사의 자동 실행 여부, 시작 옵션 키 활성화, 멀티 부팅 기능 활성화 등이다.
● win.ini, system.ini : 하드웨어 장치의 설정과 네트워크의 설정, 사용 폰트와 화면 장치의 설정 등을 담당한다. 윈도우98의 경우 system.ini의 설정 옵션의 상당량을 레지스트리로 옮겨놓았다.
   
코멘트를 작성하시면 2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144 윈도우 200% 성능 향상법 (Windows 2000 이상) [4] 02/04 14610 01/10(20:27)
143 프레임 홈페이지에서도 주소 고정시키는 소스즘.... [2] 천호근 01/29 15296 01/30(18:52)
142 크롬리스와 같은 윈도창 [2] 01/28 25038 02/07(19:19)
141 색다른 링크법(새창) 01/28 11171
140 왼쪽스크롤바 만들기 01/13 11428
139 절대경로 알아내기 01/13 11917
138 웹상의 이미지가 BMP로만 저장될때 ▩모잘라曰 01/10 11158
137 벅스뮤직 노래 소스 알아내기 [2] ▩모잘라曰 01/10 13001 01/24(18:25)
136 body, table, iframe 부분의 여백 없애기 12/31 31839
135 새창닫기 소스 12/31 11756
134 제로보드 게시판 이름 바꾸기 12/31 20183
>> 윈도우즈 시스템의 파일 확장자 정보 12/30 12381
132 소스보기 팁 [1] 12/27 11689 01/04(11:28)
131 날씨 알려주는 소스 12/27 11690
130 ~한지 00일 되었습니다. 12/26 11185
FIRST29101112131415LAST